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눈높이 사설]아홉 살짜리 딸과의 약속
  • 어린이동아 취재팀
  • 2014-08-05 23:30:42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중국 춘추시대(BC 8세기∼BC 3세기 중국의 변혁시대)의 유학자인 증자의 집에서 생긴 일이다. 어린 아들이 장에 가는 엄마를 따라가겠다며 떼를 썼다. 엄마가 “얌전히 기다리면 다녀와서 돼지를 잡아 요리해 주겠다”는 말로 달래놓고 장에 갔다 오니 증자가 소중한 돼지를 잡고 있었다. 깜짝 놀란 아내는 “그냥 해본 말인데 진짜 잡으면 어떻게 하느냐”고 따졌다. 그러자 남편은 “자식에게 속임수를 가르쳐선 안 된다”며 손을 저었다.

 

고전에 나오는 ‘증자의 돼지’는 말의 책임, 약속의 중요함을 일깨우는 고사다. 증자보다 훨씬 통 큰 인물이 조선시대 중기에 살았다. 왕족이자 문신(문과 출신의 신하)인 이경검은 자식에게 한 말을 지키기 위해 25칸 집 한 채를 아홉 살짜리 딸에게 물려주겠다는 내용을 담은 상속문서를 작성했다. 훗날 자식들 사이에 재산 다툼이 생길까 봐 문서에 ‘다른 자식들은 불평하지 말라’는 조항과 맏아들의 서명까지 챙겨 두었다. 최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 번역 공개한 ‘이경검 부부 별급문기’(1596년)에 담긴 내용이다.

 

완고한 유교 사회에서 아들을 제쳐놓고 어린 딸에게 집을 물려준 사연은 이렇다. 이경검은 ‘딸 바보의 원조’였던 듯하다. 임진왜란 도중에 망가진 집을 수리하는 것을 감독하러 가면서 ( ㉠ ) 외동딸을 업고 다녔다. 그때 무심코 “다 고치면 이 집을 주겠다”고 농담처럼 말했다. 그 말을 들은 딸은 자신이 이 집의 주인이라고 사람들에게 자랑했다. 단순한 말실수라고 얼버무릴 수 있었겠지만 그는 아버지로서 선비로서 자기 말에 책임지는 길을 택했다.

 

훌륭한 모범을 보여준 조상과 달리 21세기 한국인들은 책임지지 못할 말이나 약속을 쉽게 남발(마구 냄)한다. 우리 사회의 밑바닥에 불신(믿지 아니함)과 냉소(쌀쌀한 태도로 비웃음)의 무거운 공기가 흐르는 이유다.

 

동아일보 8월 1일자 고미석 논설위원 칼럼

어린이동아 취재팀 kids@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한미약품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