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본격 장마 시작… 1년 전 참사 되풀이 말아야
  • 전선규 기자
  • 2023-06-27 15:04:00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신촌 시내 번화가에 있는 빗물받이 중 상당수가 쓰레기로 막혀 있거나 덮개를 덮어놓아 제 기능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지난해 8월 폭우로 침수 피해를 입은 반지하 집의 모습​


[1] 25일 제주에 호우특보가 내려진 것을 시작으로 장마가 시작됐어요. 이날 제주와 남해안에 강한 비를 뿌린 비구름대(비나 눈을 내리게 하는 구름의 범위)는 중부지방으로 확대돼 전국 곳곳에 물 폭탄을 퍼부을 전망이에요.

[2] 올해 여름은 역대급 슈퍼 엘니뇨(한반도 남동쪽에 있는 태평양의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로 인한 기록적인 폭우가 예고된 상태. *지난해 여름 수도권 집중호우와 태풍 힌남노가 남부 지방에 몰고 온 폭우로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보았던 기억도 생생해요. 그런데 선제적(선수를 쳐서 상대편을 제압하는)이고 체계적인 수해(장마나 홍수로 인한 피해) 대응을 하겠다던 정부의 약속과는 달리 장마가 시작되도록 단기 침수(물에 잠김) 대책조차 마무리 짓지 못한 곳이 수두룩하다고 해요.


[3] 지난해 8월 115년 만의 호우(크고 많은 비)로 반지하 주택이 침수되는 등 총 8명이 사망하고 684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서울이 대표적이에요. 서울시는 ‘반지하 퇴출’을 선언했지만 반지하에서 벗어난 가구는 21만 가구 중 1%에 불과하지요. 침수 가능성이 높아 물막이판과 역류(물이 거슬러 흐름)방지기를 설치해야 하는 곳이 1만5500가구인데 실제 설치한 가구는 40%밖에 안 돼요. 세입자(남의 집을 빌려 쓰는 사람)와 연락이 안 되거나 집값 하락을 우려하는 집주인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는 것. 최대한 설득하되 당장 이동식 물막이판이라도 지원해야 해요.


[4] 빗물받이 막힘 현상은 침수 피해를 키운 주요 원인이었어요. 서울시는 225억 원을 들여 시내 빗물받이 54만 개를 모두 청소했다고 발표했는데 피해가 컸던 강남역과 신림동 일대에는 여전히 쓰레기에 막혀 있는 곳이 많아요. 침수 위험지역이 분포된 부산과 대전의 빗물받이 점검 이행률(어떤 일에 대하여 실제로 행하는 비율)은 10%도 안 돼요. 태풍 ‘힌남노’로 포항 냉천이 범람해 인근의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7명이 숨졌는데 하천 정비 공사는 지난달 말에야 시작돼 2년은 걸릴 전망. 
요행(뜻밖에 얻는 행운)만 바라며 손 놓고 있겠다는 걸까요. 물이 잘 빠지도록 임시 복구라도 서두르고 침수 예보나 재난 문자를 신속히 보내 대피할 시간을 벌어줘야 해요.


[5] 단기 대책도 예산과 민원을 핑계로 미루는 판이니 장기 대책을 제대로 이행할지 의문이에요. 서울 광화문과 강남역의 초대형 빗물터널과 도림천 유역 지하방수로는 올 11월에나 착공할 계획. 포항 냉천 하류의 주거 밀집지역과 철강산업단지 범람(큰물이 흘러넘침)을 막기 위한 상류 댐은 타당성 조사도 시작하지 않았어요. 일 터지면 민심 달래려 
부랴부랴 대책을 내놨다가 계절 바뀌면 흐지부지하는 재난 행정으로 어떻게 기후재난 시대를 대비할 수 있을까요.

동아일보 6월 26일 자 사설 정리


▶어린이동아 전선규 기자 3q21@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한미약품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