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한반도에는 왜 원숭이가 없을까
  • 심소희 기자
  • 2017-12-18 20:09:57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지난달 말 일본 중부 아이치 현에 있는 교토대 영장류연구소를 취재할 때 흥미로운 얘기를 들었다. 일본 원숭이가 중국 대륙에서 한반도를 거쳐 일본 열도에 정착했다는 것이다. 연구소의 이마이 히로 교수는 “일본 최남단 오키나와에는 야생 원숭이가 안 산다. 반면 한반도에서는 원숭이 화석이 발견된다”며 근거를 댔다.

막연히 대만 등 남쪽 루트(길)로 왔겠거니 생각했는데 의외였다. 나중에 찾아보니 일본 학계에선 30만∼50만 년 전 원숭이가 한반도를 거쳐 들어왔다는 게 정설이었다. 실제로 국내에선 충북 제천과 청주 등에서 원숭이 화석이 발견돼 과거 한반도에도 야생 원숭이가 서식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일본원숭이


그러면 언제, 왜 한반도의 야생 원숭이가 멸종된 걸까. 전문가에게 물어보니 한반도의 원숭이 멸종을 두고 여러 가설이 있다고 했다. 가장 ㉠유력한 것은 기후변화에 적응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대륙에서 건너와 한반도에 살던 원숭이가 빙하기 추위가 절정에 달했을 때 멸종했다는 것이다.

반면 일본에 건너간 원숭이는 기온이 높은 남쪽에서 살아남았고, 추위가 꺾이자 동북 지방으로 서식지를 확대했다. 하지만 그땐 이미 한반도와 일본이 바다로 갈라진 다음이어서 한반도로 돌아갈 수 없었을 거란 얘기다. 

대륙과 이어진 한반도에 살고 있던 호랑이 등 대형 육식동물들에게 잡아먹혔을 거란 가설도 있다. 실제로 일본에 야생 원숭이는 살지만, 야생 호랑이는 살지 않는다. 이에 대해선 아프리카에는 사자, 인도에는 호랑이가 있지만 원숭이가 멸종되지 않았다는 반론이 나온다.

어떤 이유에서든 한반도에선 가혹한 환경 때문에 원숭이가 멸종한 반면 일본에선 대륙과 단절된 상태에서 살아남아 독자적으로 진화했다. 시모키타의 야생 원숭이는 겨울에 눈 위에서 나무줄기 껍질을 뜯어 먹는다. 열매나 나뭇잎이 없으니 ㉡궁여지책으로 택한 생존법이다. 덕분에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서식하는 원숭이란 명예를 얻었다.

예나 지금이나 한반도를 둘러싼 환경은 무척 가혹하다. 도망갈 곳은 없는데 주변에는 ㉢맹수들이 우글거린다. 최근 외교 안보 이슈를 두고 미국과 중국, 러시아 등이 벌이는 파워게임(세력다툼)을 보면 한반도에 빙하기가 다시 오는 듯한 한기(추운 기운)마저 들 정도다.

물려받은 지정학적 위치를 바꿀 수는 없다. 하지만 그럴수록 지혜를 짜내 살아남고 진화해야 하는 것은 원숭이도 인간도 마찬가지다. 한반도 야생 원숭이처럼 되지 않도록 엄혹한 빙하기를 견딜 국가적 지혜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동아일보 12월 14일 자 장원재 특파원 칼럼 정리 




▶어린이동아 심소희 기자 sohi0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한미약품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