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눈높이 사설]법정, 속기에서 녹음 시대로
  • 어린이동아 취재팀
  • 2014-04-11 04:44:48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법정에서 재판이 진행되는 모습. 동아일보 자료사진

요즘은 속기(소리를 빠르고 정확하게 문자로 기록하는 것)학원도 찾기 힘들지만 우연히 ‘속기학원’ 간판을 볼 때마다 녹음을 할 수 있는데 왜 아직도 속기를 할까 궁금증이 든다.

 

속기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귀를 스쳐 흘러가 버리는 음성보다는 종이에 고정된 문자가 활용도가 높다. 녹음을 해봐야 녹취록(녹음된 것을 문서화한 것)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고 그 녹취록을 만드는 데 다시 속기사가 개입(끼어듦)하므로 처음부터 속기를 할 수 있으면 그렇게 하는 게 낫다. 디지털 시대에도 속기는 활용도가 있다는 것이다.

 

재판에는 공판조서(재판이 진행되는 과정을 법원 사무관 등이 조사한 사실을 적은 문서) 란 게 있어서 재판 과정을 기록한다. 조서(조사한 사실을 적은 문서)는 모든 진술을 그대로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중요치 않다고 여겨지는 것은 빼고 요약하는 방식으로 작성된다. 그러다 보니 당사자가 말한 것과 다르게 기록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럴 때 당사자는 정정을 요청할 수 있는데 그 근거가 모든 진술을 그대로 기록하는 속기록이다.

 

속기의 역사는 녹음의 역사보다 훨씬 길다. 하지만 우리나라 형사소송에서는 그렇지 않다. 1995년부터 법정에 본격적으로 속기와 녹음이 도입됐다. 그러나 정확하기로는 속기보다 녹음이다. 속기사도 사람인지라 실수로 빠뜨릴 수 있다.

 

과거보다 훨씬 예민해진 사건 당사자의 시비(옳음과 그름을 따지는 것)에 대비하는 데 녹음만 한 것은 없다. 대법원은 내년부터 전국 법원의 모든 재판과정을 녹음하도록 하는 법정녹음제도를 실시하기로 했다. 지금은 법관의 판단에 의하거나 사건 당사자의 요청이 있을 때만 한다. 녹음과 속기는 선택적이어서 녹음을 하면 속기할 필요가 없다. 대법원은 조서 작성에 필요한 인력을 줄일 계획까지 갖고 있다. 문자 중심의 법정이 음성 중심의 법원으로 가는 가속페달을 밟았다는 느낌이다.

 

동아일보 4월 3일자 송평인 논설위원 칼럼

 

정리=이영신 기자 lys@donga.com

 

 

사설 읽고 생각하기 ▼

 

1. 다음 중 사설 내용과 옳은 것을 고르세요.

 

① 디지털 시대에 속기는 활용도가 없다.

② 조서(조사한 사실을 적은 문서)는 모든 진술을 그대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작성된다.

③ 정확도는 녹음보다 속기가 더 높다.

④ 대법원은 내년부터 전국 법원의 모든 재판과정을 녹음하도록 하는 법정녹음제도를 실시하기로 했다.

⑤ 현재 우리나라는 재판과정을 무조건 녹음하고 있다.

 

2. ‘속기사’처럼 시대가 달라지고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점점 사라지는 직업이 있습니다. 지금 있는 직업 중 시간이 지나면 없어질 것 같은 직업을 적어보고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3. 칼럼에 첨부된 사진에서 속기사가 누구인지 찾아 동그라미 해 보세요.

 

 

※정답 1. ④ 3. 재판장 아래에서 노트북을 보는 여성.

어린이동아 취재팀 kids@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