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두꺼비 살려!”… 성비 불균형·로드킬에 두꺼비 수난?
  • 김재성 기자, 전선규 기자
  • 2023-03-23 13:56:00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육지로 이동하는 새끼 두꺼비. 대구 수성구청 제공

만물이 깨어난다는 절기인 ‘경칩’이 지난 뒤 겨울잠에서 깨어난 두꺼비들이 수난(견디기 힘든 어려운 일을 당함)을 당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요. 전남녹색연합이 전남 광양에 있는 두꺼비 산란지(알을 낳는 곳)인 비평 저수지 인근을 조사한 결과 2021년에 1832마리로 집계되던 두꺼비 개체 수가 2022년엔 1291마리, 올해는 540마리로 크게 감소했다고.

물에서 태어나는 두꺼비는 육지에서 살다가 태어난 곳으로 돌아가서 알을 낳는 ‘회귀성 동물’이에요. 하지만 서식지에서 산란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두꺼비가 차에 치이거나 사람에 밟혀 죽는 ‘로드킬’을 당한다고 해요. 게다가 암컷과 수컷의 비율이 불균형적인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나오는 상황.

두꺼비가 실제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살펴볼까요?


두꺼비의 목숨 건 대이동


두꺼비 로드킬이 발생하는 도로에 그물망을 설치하는 모습. 인천녹색연합 제공


2∼3월이 되면 성체(다 자란 몸) 두꺼비들은 새끼를 낳으러 물가로 이동해요. 5∼6월이 되면 새끼 두꺼비들이 육지로 돌아가지요. 알을 낳기 위해 이동하는 두꺼비의 여정은 목숨을 건 사투(죽을힘을 다해 싸움)나 다름없어요. 서식지 인근에 도로가 생기면서 수많은 두꺼비가 이동 중에 로드킬을 당하기 때문이지요.


성큼성큼 이동하는 포유류와 달리 두꺼비들은 엉금엉금 기어 다니기 때문에 차량이나 사람의 발에 밟히기 쉬워요. 더군다나 두꺼비들은 산란지까지 단체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는데, 두꺼비 무리가 도로를 가득 메우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지요.


국립생태원 복원생태팀에서는 산란지로 유명한 △대구 △울산 △전남 광양 △전남 순천 △충북 청주 등의 주요 산란 지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면서 로드킬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과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어요. 송의근 국립생태원 연구원은 “두꺼비들이 위험한 도로를 피해 오갈 수 있는 생태통로 및 유도 울타리 등을 설치하는 한편 지역 주민들과 함께 두꺼비를 손수 이동시키기도 한다”면서 “전국 각지에 두꺼비들이 무더기로 로드킬을 당하는 곳이 많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참여도 중요하다”고 강조했어요.


두꺼비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9조’에 해당하는 포획 및 채취 금지 생물로 생태계에 아주 중요한 동물이에요. 두꺼비와 같은 양서류는 곤충 같은 무척추동물을 먹고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의 먹이가 되는 먹이사슬의 중간 역할을 담당하거든요. 두꺼비의 개체 수가 줄어들면 생태계 전체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이지요. 물에서 태어나 육상에서 사는 특성을 가진 두꺼비는 수상과 육상 환경의 상태를 평가하는 생물지표종으로 활용되기도 해요.


두꺼비의 성비가 무너졌다고?


경남 밀양의 한 저수지에서 산란을 위해 암컷과 수컷이 함께 있는 두꺼비 모습. 동아일보 자료사진


두꺼비들의 성비가 무너졌다는 분석이 최근 나왔어요. 해마다 전남 광양 섬진강 일대의 성체 두꺼비를 관찰해 개체 수를 조사하는 전남녹색연합은 최근 들어 이 지역의 비평 저수지에서 두꺼비 수컷이 더 많이 늘었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지요. 기존에는 암컷과 수컷의 비율이 1대4 또는 1대6을 유지했는데, 올해 조사에선 이 비율이 1대10까지 오른 것. 보통 개구리와 두꺼비 등의 양서류는 암컷이 알을 낳을 때 수컷이 암컷과 함께 붙어있는데, 여러 마리의 수컷이 한꺼번에 달려들어서 암컷 두꺼비들이 압사(무거운 것에 눌려 죽음)당하는 경우도 있다고.


이처럼 수컷의 비율이 높아진 이유는 뭘까요? 기후변화가 이런 현상을 낳았을 것이라는 가설이 일각에서 나오기도 했어요. 거북이와 같은 파충류는 부화(동물의 알 속에서 새끼가 껍데기를 깨고 나옴)할 때의 주변 온도가 성별 결정에 큰 영향을 줘요. 알 주변 모래 온도가 오르면 암컷이 태어나고, 온도가 낮으면 수컷이 태어나는 경향이 있는 것. 이런 파충류처럼 양서류인 두꺼비 또한 지구온난화로 성비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 것이지요.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양서류인 두꺼비의 성비 변화를 파충류와 비교하며 기후변화와 연관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관련된 과학적 증거도 없다”고 입을 모았어요. 단, 기온이 상승할수록 번식시기가 앞당겨지고, 동면(겨울잠)에 영향을 받는 등 기후변화가 두꺼비 같은 양서류의 활동을 방해할 수 있다고는 말했지요.

▶어린이동아 김재성 기자 kimjs6@donga.com, 전선규 기자 3q21@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지역난방공사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