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한국 1위 부자
  • 김재성 기자
  • 2021-08-03 16:59:47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김범수 카카오 의장. 카카오 제공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1]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첫 직장은 삼성데이타시스템(현 삼성SDS)이었다. 컴퓨터 언어를 배우며 부업으로 PC방을 했다. 이때까지 그의 비즈니스 모델(사업 모델)은 컴퓨터였다. 이어 온라인 게임사이트 한게임을 창업하고 NHN 대표가 된다. 주력(중심이 되는 힘)이 컴퓨터에서 인터넷으로 바뀐 셈. 다시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만들며 모바일에 뛰어들었다. 컴퓨터 인터넷 모바일 순으로 꾸준한 변신이 그를 한국 1위 부자로 만들었다.

[2]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29일(현지 시간) 김 의장의 순자산을 134억 달러, 약 15조4000억 원으로 집계했다. 기존 재산 1위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121억 달러를 넘어섰다. 올 들어 카카오 주가(주식 가격)가 90% 오르면서 김 의장 재산은 60억 달러 이상 급증했다. 외신들은 ㉠자수성가한 정보기술(IT) 기업 창업자의 스토리를 한국에서 기념비적인(오래도록 인지 않을 만한 가치가 있는)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대기업 위주의 한국에서 구글 페이스북 같은 벤처 신화가 나오자 각별한 의미를 두는 것 같다.

[3] 2000년대까지 한국 부자 순위는 거의 고정이었다. 삼성 현대차 롯데 등 대기업 오너들이 상위권을 유지했다. 이후 가세한 부자가 김 의장을 비롯해 서정진 셀트리온 전 회장, 권혁빈 스마일게이트 비전제시 최고책임자(CVO), 김정주 NXC 대표, 김범석 쿠팡 의장 등이다. IT 바이오 기업인들이 단기간에 한국 부자 10위권의 절반을 바꿔 놨다. 한국의 산업 변신이 놀랄 만큼 빠르다.

[4] 인류 역사상 최고의 부자로는 미국 석유사업가 록펠러가 꼽힌다. 현재 가치로 재산이 500조 원에 육박했다. 기자가 “얼마만큼의 돈이 있어야 충분하냐”고 물었더니 그는 “조금만 더(Just a little more)”라고 답했다. 돈 자체보다 사업 확장을 뜻한 듯하다. 수십 년간 한국 최고 부자였던 이건희 삼성 회장은 ‘위기’와 ‘변화’를 입에 달고 살았다. 김 의장은 “다른 혁신가들의 여정에 보탬이 되고 싶다”고 했다. 혁신을 업(業ㆍ일 업)으로 삼는 기업가들이 1위 부자가 되는 시대이다.

[5] 평범한 사람에게 한국 1위 부자는 남의 일이다. 하지만 부자는 되고 싶다. 수십억 자산가도 남들이 자신을 부자라고 하면 손사래를 치고, 그보다 재산이 적은데 스스로 부자로 느끼는 사람이 있다. ‘돈 철학자’로 불린 투자가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하지 않도록 해줄 정도의 재산을 가진 사람’을 부자로 정의했다. 사람마다 부자로 만들어줄 재산 규모가 다를 수밖에 없다. 각자 재산이 얼마이든 스스로 부자로 생각하는 국민이 늘어나야 한다.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그 환경을 만드는 것은 국가와 사회 몫이다.


동아일보 7월 31일 자 이은우 논설위원 칼럼 정리

※오늘은 동아일보 오피니언 면에 실린 칼럼을 사설 대신 싣습니다.​





▶어린이동아 김재성 기자 kimjs6@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