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2020년, 공직사회가 달라져야 대한민국의 미래 열린다
  • 김재성 기자
  • 2020-01-05 14:49:33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지난해 10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각 부처 국정감사를 앞두고 각 정부 기관에서 나온 관계자들이 답변 자료를 준비하고 있는 모습. 동아일보 자료사진


[1] 경자년(庚子年) 새해가 밝았다. 지난해 대한민국은 힘든 한 해를 보냈다. 경제성장률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10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고 중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생존이 어려울 만큼 몰락했다. 수출과 투자가 감소하고 경제가 추락했지만 규제개혁을 통해 민간의 활력을 높여야 할 공무원들은 소극 행정과 ㉠복지부동으로 일관(하나의 방법이나 태도로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음)했다.


[2] 동아일보가 공직사회의 현황을 살피려고 ‘정부 혁신 공모전’과 공무원 익명 게시판 등을 취재해 보니 공무원들의 관심은 국민을 위한 정책 현안보다 자신들의 복지와 편의에 더 쏠려 있었다. 부처 간 칸막이로 인해 정책 추진이 번번이 가로막히자 청와대 민원 방에 정책 제안을 올린다는 공무원도 있었고, 갑작스레 자주 발생하는 인사이동으로 업무 인수인계가 부실한 탓에 대민(민간인을 상대함) 행정이 마비되는 경우도 종종 일어났다. 서류와 보고서에 치중하고, 성과보다 절차에 얽매이는 형식적 관료주의(관청이나 사회집단에서 나타나는 행동양식 및 의식형태로 상급자에게는 약하고 하급자에게는 힘을 내세우며 자기 업무와 관련이 없는 일에는 신경 쓰지 않는 특성)도 타파(부정적인 규정, 관습, 제도 등을 깨뜨려 버림)해야 할 관행으로 꼽혔다.


[3] 젊은이들 사이에서 공무원은 인기 직업 1위다. 해고될 염려가 없는 데다 위아래 눈치 보지 않고 휴직 등을 쓸 수 있어서란다. 공무원들에게 상대적으로 직업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것은 그만큼 소신껏 국민을 위해 봉사하라는 뜻이다. 그러나 국민이 체감하는 공무원의 대민 서비스는 기대에 크게 못 미친다. 한국행정연구원의 설문조사에서 ‘공무원이 ㉡무사안일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국민 62.1%가 ‘그렇다’고 답했다.


[4] 세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신산업과 기존 산업 간의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어야 하지만 공직사회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대통령까지 나서서 ‘규제개혁’을 외쳤으나 세계경제포럼(WEF)이 조사한 한국의 ‘규제혁신 국민 체감도’는 140여 개국 중 79위에 불과하다. 민간 사회의 역동적 변화를 따라잡지 못한 채 고립된 공직사회가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는 ㉢갈라파고스식 규제들을 붙들고 있다가는 선진국 진입은 요원(아득히 멂)해진다.


[5] 새해에는 4·15총선으로 정치의 판이 바뀌고, 신(新)냉전시대의 본격화로 남북관계와 주변 외교에 새로운 도전이 기다리고 있다. 작년에 2% 성장도 불안했던 경제를 반등시켜 새로운 도약의 한 해로 삼아야 한다. 청렴과 애민을 목민(牧民·임금이 백성을 다스려 기름)의 으뜸으로 삼았던 *다산 정약용의 정신을 되살려 공직사회가 국민을 위해 적극 헌신해야 새로운 대한민국이 열린다.


동아일보 1월 1일 자 사설 정리




▶어린이동아 김재성 기자 kimjs6@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지역난방공사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