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를 거부하고 글쓰기에 몰두하는 작가 복거일. 동아일보 자료사진 |
“남은 날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지만, 글 쓰는 데 쓸란다. 한번 입원하면, 다시 책을 쓰기는 어려울 거다. 암 치료 받기 시작한 작가들 결국 소설다운 소설 못 쓰고서….” “그래도 아빠, 일단 살아야 하잖아? 그럼 우린 어떡해. 아빠가 치료도 안 받고 그냥….”
소설가 복거일이 최근 펴낸 ‘한가로운 걱정들을 직업적으로 하는 사내의 하루’(문학동네)에 나오는 아빠와 딸의 슬픈 대화다.
이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 현이립은 말기 암 판정을 받은 작가다. ㉠허구가 아니라 복거일 자신의 실제 이야기를 담은 소설이다. 그는 2년 반 전 말기 간암 진단을 받고 병원 문을 나선 뒤 한 번도 병원에 가지 않았다. 항암 치료(몸 속에 암세포를 없애는 치료)를 받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그동안 계획만 해놓고 쓰지 못한 소설을 더 늦기 전에 쓰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2년 반을 버텼다. 신기할 정도로 잘 견뎌냈다.
복거일은 암 선고를 받은 이후 더 열심히 글을 썼다. 1991년 발간한 과학소설 ‘역사 속의 나그네’(전 3권)의 후속편 4∼6권을 지난해 봄에 탈고(원고 쓰기를 마침)했다. 20여 년 전 속편을 쓰겠다던 약속을 병과 싸우며 지켰다. 아울러 ‘한가로운 걱정들을∼’과 ‘내 몸 앞의 삶’ ‘신도 버린 이 땅에서’ 등 소설 3권을 더 썼다. 마지막이라는 생각이 드니 평상시보다 더 강렬하게 살게 됐다고 작가는 말한다.
항암 치료는 육체뿐 아니라 정신까지 지치고 쇠약하게 만든다. 말기 간암 환자의 마지막 희망인 간 이식 수술을 받으려고 목이 빠지도록 기다리다가 세상을 떠나는 경우도 있다. 복거일이 여느 사람들처럼 항암 치료에 집중했다면 지금 어떤 모습일까 상상해 본다.
예전에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집에서 온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자연스레 죽음을 맞았다. 의학 기술이 발달한 요즘은 환자들이 얼굴에 인공호흡기를 달고 팔에는 주삿바늘을 주렁주렁 꽂은 채 고통스럽게 마지막 숨을 거두는 모습이 낯설지 않다. 어느 쪽이 인간의 존엄성을 더 지키는 길인지 복거일의 선택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동아일보 3월 28일자 최영해 논설위원 칼럼
정리=양보혜 기자 yangbo@donga.com
▼ 사설 읽고 생각하기 ▼
1. ㉠은 무슨 뜻을 가진 단어일까요? ㉠의 뜻을 국어사전에서 찾아 적어보고, 이와 반대되는 말을 사설 속에서 찾아보세요.
2. 소설가 복거일이 암 판정을 받은 이후 쓴 소설은 무엇이 있을까요? 사설 속에 나온 소설을 모두 찾아 적어보아요.
3. ‘버킷리스트’는 자신이 숨지기 전에 꼭 해보고 싶은 일을 적은 목록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여러분은 살면서 꼭 해보고 싶은 일이 무엇이 있나요? 버킷리스트를 만들어봅시다.
※정답 1. 사실에 없는 일을 사실처럼 꾸며 만듦. 실제 이야기 2. 한가로운 걱정들을 직업적으로 하는 사내의 하루, 역사 속의 나그네 후속편 4~6권, 내 몸 앞의 삶, 신도 버린 이 땅에서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