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남부천문대(ESO) 아마추어 천문사진 공모전’ 수상작
우주 속의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
천문사진은 가족사진처럼 ‘찰칵’ 한 번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망원경 렌즈에 원하는 장면이 잡힐 때까지 오랜 시간 기다려야 하는 것도 어렵지만 찍힌 사진이 우주의 어떤 부분인지 분석하고 교정하는 작업은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유럽남부천문대(ESO)의 ‘천문사진’팀은 아마추어 사진가들에게도 이 기회를주기로 했다. ‘아마추어 천문사진가’들을 대상으로 사진 공모전 ‘숨겨진 보물’을 열기로 한 것.
ESO가 갖고 있는 방대한 천문사진 데이터 중 가치가 있는 것을 골라내 교정 작업을 한 뒤 제출하는 것이 과제다. ESO의 라스 크리스틴슨 교육 및 홍보 팀장은 “이 일은 희미한 열정만으로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뛰어난 지식과 예술적인 눈이 모두 요구된다”며 “재능 있는 아마추어를 발견하는 기회였다”고 말했다. 1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12일 9장의 수상작이 발표됐다.
![]() |
러시아의 이고르 체카린 씨(사진)가 1등을 차지했다. 오리온자리의 무정형 성운(빛을 반사하는 성운) M78의 사진을 작업했다. M78은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뿌연 안개처럼 보이는데 10등급 밝기의 별 두 개가 있다. 이 별에서 나오는 빛을 M78의 먼지 구름이 반사하기 때문에 먼지 구름이 빛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1∼9위를 차지한 천문사진을 소개한다.
이지현 기자 edith@donga.com
![]() |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