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80년 광주, 중동 분쟁지역 현장 지킨 AP기자 잠들다
  • 전선규 기자
  • 2024-04-25 11:22:00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앤더슨 전 AP통신 기자가 레바논에서 납치된 이후 6년 8개월 만에 풀려난 1991년 12월 4일, 당시 6살 딸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에 있는 미국 대사관을 떠나고 있다. AP뉴시스 자료사진



[1] 1980년 5월 광주의 한 모텔에 몇몇 외국인 기자들이 모여들었어요. 모텔 창문 밖으로 멀리 저항에 나선 광주시민들이 보였고, 신군부(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군인들로 이뤄진 세력으로, 당시 정치권력을 장악함) 진압(강압적으로 억눌러 진정시킴)부대도 대열을 갖추고 있었지요. 그때 모텔에서 6m쯤 떨어진 옆 건물 옥상에 총을 든 군인이 나타나더니 기자들에게 손짓하며 떠날 것을 요구했어요. 잠시 후 모텔방 유리창이 깨지며 총알이 날아들었지요. 한 기자가 카메라를 꺼내 들고 창밖 촬영을 시도했어요. 총알이 더 날아들자 기자들은 바닥을 기어서 빠져나왔어요. 미국 UPI통신(신문사나 방송사 등에 뉴스를 제공하는 기관) 기자가 1989년 미국 LA타임스에 쓴 5·18민주화운동(1980년 5월, 신군부를 규탄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전개된 민주항쟁) 취재 기록에 담긴 내용이에요.


[2] 어떻게든 촬영하려고 카메라를 꺼내 든 이는 미국 AP통신 도쿄지국 *테리 앤더슨 기자(당시 33세). ‘뉴스 현장’을 찾아 한국으로 건너온 그는 본능적으로 카메라를 내밀었을 거예요. 1980년 광주에선 희생자 수를 두고 논란이 컸어요. 신군부는 초기에 3명이라고 발표했고, 시민들은 261명이라고 주장했어요. 앤더슨 기자는 거리 취재 때 시신을 직접 셌어요. “그렇게 많은 시신은 처음 봤다”며 하루에 179구까지 확인했다고 기억했지요. 왜 굳이 세었느냐고 묻는다면 그는 “기자는 원래 그렇게 일한다”라고 답했을 거예요.


[3] 앤더슨 기자가 지난 21일 미국 뉴욕주 자택에서 7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어요. 그가 세상에 더 알려진 것은 광주 5·18민주화운동 취재 5년 뒤 AP통신 중동지국장으로 일하던 때 내전(한 나라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중이던 서아시아 나라 레바논에서 헤즈볼라(레바논의 무장단체)에 납치된 일 때문이에요. 그곳 수도 베이루트에서 동료와 테니스를 친 어느 날 그는 괴한(거동이나 차림새가 수상한 사람) 3명에게 끌려갔어요. 이들은 영어로 “걱정 마라. 이건 정치적일 뿐”이라고 말했지만 그로부터 2454일, 6년 8개월 동안 그는 인질(약속을 행하도록 담보로 잡아 두는 사람)이 됐어요.


[4] 훗날 쓴 ‘사자굴’이란 회고록(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하며 적은 기록)에 자세한 기록이 담겨 있어요. 대부분을 눈이 가려진 채 지냈고, 수갑과 족쇄(죄인의 발목에 채우던 쇠사슬)가 채워졌어요. 몇 시간씩 기도하며 버텼다고 썼지요. 당시 약혼녀는 임신 6개월이었고, 그때 태어난 딸은 여섯 살이 되어서야 사진으로만 보던 아빠를 만났어요. 그는 귀국 후 헤즈볼라의 배후(어떤 일의 드러나지 않은 이면)인 이란 정부를 상대로 1억 달러(약 1400억 원)의 손해배상 소송(자신이 입은 피해를 보상받기 위해 법원에 판결을 요구하는 소송)을 냈고, 액수가 밝혀지지 않은 큰 배상금(남에게 입힌 손해에 대해 물어 주는 돈)을 받아냈어요. 그 돈으로 과거 자신이 해병대원으로 전쟁에 참여했던 베트남을 위해 학교 50개를 지었지요.


[5] 언론을 떠난 그의 삶은 대학 강의와 자선사업(남을 도울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업)이었어요. [  ​  ] 그는 레바논 근무 시절 “분쟁지역 취재는 내 삶에 가장 매혹적인 일”이라고 했던 대로 ‘현장을 지킨 기자’로 기억될 거예요. 민주화 시위를 기록하기 위해 광주를 찾았고, 남들은 피하는 중동의 분쟁지역(정치, 종교 등의 문제로 다른 민족이나 나라와 복잡하게 다투는 지역)을 지켰어요. 그의 모습이 담긴 영상에는 왼쪽 가슴팍 주머니에 꽂힌 검은 볼펜과 빨간펜이 눈에 띄어요. 세련된 정장 차림은 아니었지만 현장 기자라면 누구나 그랬을 모습 그대로예요.


※오늘은 동아일보 오피니언 면에 실린 칼럼을 사설 대신 싣습니다.


동아일보 4월 23일 자 김승련 논설위원 칼럼 정리




▶어린이동아 전선규 기자 3q21@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한미약품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