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뉴스쏙 시사쑥] "식량 문제 해결" vs "판매 수익 줄어"
  • 이선행 기자
  • 2023-09-18 13:05:00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벨기에 브뤼셀, 유통기한 임박 식품 기부 의무화 추진

[오늘의 키워드] 푸드뱅크


개인이나 기업 등으로부터 식품, 생활용품 등을 기부 받아 취약계층에 나눠 주는 제도를 말해요. 시작은 1960년대 후반 미국. 우리나라에선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 금융 사태(1997년 우리 정부가 IMF에 자금 지원을 받은 일) 이후 취약계층의 급식 문제가 급격히 떠오르자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됐습니다.



유통기한 임박 제품을 할인하고 있는 벨기에의 한 슈퍼마켓. 벨기에 일간 레코 홈페이지 캡처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시가 유통기한이 임박한 제품의 기부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추진하면서 찬반이 엇갈려요.


브뤼셀시 당국은 “브뤼셀에서만 약 7만 명 정도가 식량 지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아직 먹을 수 있는 많은 양의 식품이 버려지는 일은 용납될 수 없다”며 이러한 내용의 법을 최근 내놨어요. 새로운 규정은 내년부터 브뤼셀에 있는 면적 1000㎡ 이상의 대형 슈퍼마켓들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브뤼셀타임스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벨기에는 높은 식량 인플레이션(물가가 오름)과 생활비 상승으로 고통 받고 있어요. 푸드뱅크에서 식량을 공급받는 사람들의 수는 늘어나는 반면 기부되는 식품의 양은 줄어들고 있다고.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현재 브뤼셀에서 유통기한 임박 식품들은 △헐값(원래 가격보다 훨씬 싼 값)에 팔리거나 △푸드뱅크를 통해 기부되거나 △버려지고 있는데요. 알랭 마론 브뤼셀 환경장관은 “슈퍼마켓에서 기부 약속을 했다가 철회(거두어들임)하는 경우도 있고, 식품이 너무 늦게 기부되어 먹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며 “(기부가) 의무화되면 보다 적극적으로 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소매(물건을 최종소비자에게 판매함) 업계들은 피해를 우려해요. 법안에 따라 기부되는 식품의 유통기한은 하루가 남아 있는데, 기부되지 않고 진열된다면 그 사이 팔릴 수도 있기 때문. 소비자들은 고물가 상황 속 저렴하게 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혜택을 누리지 못하게 되는 것이지요.



▶어동이 나는 유통기한 임박 식품을 기부하는 것에 찬성해. 식량 문제는 물론 쓰레기 문제 해결까지 기대할 수 있는 법안이야. 먹을 수 있는 아까운 식품들이 버려지는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만만치 않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비용도 줄일 수 있어.


브뤼셀은 벨기에의 수도이기도 하지만 유럽연합(EU)의 본부가 위치한, ‘EU의 수도’이기도 해. 브뤼셀에서 성공적으로 이 법안이 자리하게 된다면, EU의 다른 국가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거야.



▶어솜이 나는 유통기한 임박 식품을 기부하는 것에 반대해. 물론 좋은 의미의 법안이기는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수익과 직결된 문제일 수 있기에 무조건 강제할 수는 없다고 생각해. 기부를 활성화할 수 있는 다른 방안들이 있지 않을까?


유통기한 임박 식품들은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 비용을 줄여주는 고마운 존재이기도 했어. 벨기에 무역서비스연합 코메오스는 △원자재(생산의 원료가 되는 자재) 비용 △구매 및 운송 비용 △임금 △포장 △임대료(남에게 건물 등을 빌려준 대가로 받는 돈) △에너지 및 세금의 영향으로 식품 소매 부문은 30년 만에 가장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고 최근 경고한 바 있지.



어동이와 어솜이의 주장 중 누구의 주장에 동의하나요? 내 생각을 10월 3일(화요일)까지 어린이동아 온라인 카페(cafe.naver.com/kidsdonga)의 ‘어동 찬반토론’ 게시판에 올려주세요. 가장 논리적으로 주장을 편 어린이들의 의견을 뽑아 지면에 소개합니다.


▶어린이동아 이선행 기자 opusno1@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B금융그룹 캠페인 권지단
KB금융그룹 캠페인_지주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