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동물 복제 시대를 연 과학자
  • 이선행 기자
  • 2023-09-21 14:43:00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복제 양 '돌리' 탄생시킨 이언 윌멋 별세


윌멋 박사와 돌리. 에든버러대 제공


1996년 세계 최초로 복제 양 ‘돌리’를 탄생시킨 영국의 생명과학자 이언 윌멋이 최근 79세를 일기(한평생 살아 있는 동안)로 생을 마감했어요. 영국 에든버러대는 “과학계의 거인(어떤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쌓은 사람)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전하며 “당시의 과학적 사고를 크게 바꾸어 놓은 인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영국 BBC방송은 “돌리는 20세기 가장 위대한 과학적 업적 중 하나”라며 애도(죽음을 슬퍼함)를 표했지요.


이언 윌멋 박사는 누구일까요. 그가 ‘만들어 낸’ 복제 양 돌리가 과학계에 미친 영향과 함께 알아보아요.



세계 최초의 체세포 복제 동물, 돌리


생물을 구성하는 세포는 크게 생식 세포와 체세포로 나뉘어요. 생식 세포는 생명의 탄생에 관여(어떤 일에 관계하여 참여함)하는 정자와 난자. 체세포는 그 나머지 몸 전부를 이루는 세포입니다.



어린 돌리(왼쪽)의 모습


윌멋 박사는 세계 최초로 포유류(젖을 먹여 새끼를 키우는 동물)의 체세포를 이용해 새 생명을 태어나게 하는 데 성공한 인물이에요. 자연에서 일반적으로 태어나는 양은 부모로부터 유전자를 각각 절반씩 내려받은 뒤 엄마 아빠를 닮은 모습으로 태어나요. 하지만 돌리는 6살 난 암컷 양의 신체 일부에서 떼어낸 세포로 만들어져 그 양과 완벽하게 똑같은 모습으로 태어났지요.


이는 갓 태어난 아기 양 돌리가 보이는 것처럼 ‘어리지 않은’ 이유이기도 해요. 다 자란 양의 체세포로부터 탄생한 돌리의 몸을 구성하는 체세포 역시 어른 양의 세포이기 때문이지요.



돌리(오른쪽)와 돌리의 새끼 보니(왼쪽). 돌리는 다른 양들처럼 평범하게 살다 세상을 떠났다


1996년 태어난 암컷 양 돌리는 6년이라는 짧은 삶을 살았어요. 2003년 나이가 들면서 폐질환을 앓게 됐고, 결국 안락사(고통이 적은 방법으로 생명을 단축시키는 것)됐지요. 현재 돌리의 사체(죽은 몸뚱이)는 박제(죽은 동물과 같은 상태로 만듦)되어 영국 스코틀랜드 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생명과학 연구의 초석 마련



윌멋 박사는 277번의 시도 끝에 돌리를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


돌리의 탄생 이후 다양한 동물들이 체세포 복제(본디의 것과 똑같은 것을 만듦) 기술로 태어났어요. 2017년에는 최초로 체세포 복제 영장류(원숭이, 오랑우탄, 인간 등의 동물)인 원숭이 ‘종종’과 ‘화화’가 탄생하기에 이르러요. 이후 줄기세포(다양한 신체 조직이 될 수 있는 초기 단계의 세포) 연구의 기반이 되어 난치병(치료하기 어려운 병) 치료와 이종 이식(동물의 몸에서 키운 장기를 사람에게 옮겨 붙이는 것) 연구에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산업 분야에서도 이용되었어요. △품질 좋은 소나 돼지를 소비해도 △뛰어난 기량(기술상의 재주)을 가진 경주마나 탐지견이 더 이상 일을 못하게 되어도 △사랑하는 애완동물이 목숨을 잃어도 △동물이 멸종 위기에 처하더라도 다시 똑같이 만들어 되살려낼 수 있게 된 것이지요.


하지만 동시에 복제 윤리(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할 도리) 문제 또한 제기되었어요. 귀중한 생명을 공장에서 마구 찍어내듯 함부로 만들어 내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였지요. 인간 복제의 가능성이 비춰지며 더 큰 문제로 여겨졌는데요. 윌멋 박사는 이러한 논란에 대해 “기술이 잘못 사용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단지 과학적으로 동물의 유전자를 조작하는 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영원한 잠에 든 윌멋 박사가 세운 업적은 앞으로도 여러 연구에 큰 영향을 주며 오랫동안 기억될 거예요.​

▶어린이동아 이선행 기자 opusno1@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B금융그룹 캠페인 권지단
KB금융그룹 캠페인_지주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