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Science]과학으로 빛낸 2016년
  • 어린이동아 취재팀
  • 2016-12-27 21:50:20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올해의 10대 과학기술뉴스’ 발표

《 우리나라 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 구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의 바둑대결이 올해의 10대 과학기술뉴스 중 하나로 뽑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국내 과학기술인과 일반인 6000여 명의 온라인 투표를 통해 ‘올해의 10대 과학기술뉴스’를 뽑았다고 최근 발표했다. 올 한해 국내에서 이뤄졌거나 한국의 과학자가 참여한 과학기술 및 뉴스 가운데 사회 발전과 과학 대중화에 이바지한 10가지를 선정한 이번 조사에서는 과학기술 연구 성과 6건과 뉴스 4건이 뽑혔다. 이 중 어린이들에게 상식이 될만한 세 가지를 소개한다. 》

 

두 블랙홀이 부딪쳐 발생한 중력파의 가상도. NASA 홈페이지
 
 

① 101년 만에 밝힌 비밀

 

세계적인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1955)이 1915년 예측했던 ‘중력파’가 101년 만인 올해 2월 확인됐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 발표한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질량(물체의 고유한 기본량)을 가지고 있는 물체는 주변의 시간과 공간을 휘게 만든다. 이때 휘어진 시간과 공간의 물결이 바로 ‘중력파’. 잔잔한 수면 위에 질량을 가진 물체를 던지면 물체 주변으로 물결이 일며 수면을 휘게 만드는 것과 같은 원리다.

 

중력파는 미국 워싱턴 주와 루이지애나 주에 각각 설치된 진공터널 ‘라이고(LIGO)’를 통해 감지됐다. 라이고는 중력파가 지구를 훑고 지나가며 만든 공간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중력파를 확인했다. 이번 중력파의 크기는 1광년(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나아가는 거리)을 기준으로 머리카락 한 올 굵기 정도의 공간 변화가 생긴 정도다.

 

이번 실험을 통해 확인된 중력파는 우주의 블랙홀 두 개가 지구에서 13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맞부딪치면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력파 확인을 통해 앞으로 블랙홀과 천체의 탄생 등 그동안 빛이나 전파를 통해 관측할 수 없었던 우주의 비밀을 밝혀내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라이고 실험은 1997년부터 한국, 미국, 영국 등 15개국 과학자 1000여 명이 참여한 공동 연구단체가 진행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에 소속된 20여 명의 국내 과학자들도 참여했다.

 

 

일러스트 임성훈
 
 

② 슈퍼박테리아를 무찔러라

 

항생제에 내성(견디는 성질)이 생겨 강력한 항생제에도 죽지 않는 이른바 ‘슈퍼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물리칠 수 있는 퇴치법이 올해 7월 국내에서 개발됐다.

 

류충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와 용동은 연세대 교수 연구팀은 항생제 ‘폴리믹신’에 항암제를 조금 섞어 사용하면 슈퍼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폴리믹신은 세균을 죽이는 효과는 뛰어나지만 독성이 강해 사람 몸에도 해롭다. 사람의 몸에 해로울 만큼 강력한 항생제임에도 불구하고 단독 사용 시 슈퍼박테리아에는 잘 듣지 않아 문제였다. 연구팀은 항생제의 농도를 낮춘 뒤 항암제를 섞어 사용하면 항생제의 독성을 낮춰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슈퍼박테리아는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한국인 유전체(게놈) 지도. 네이처
 
 

③ 사람의 유전자를 지도로

 

올해 10월 한국인의 유전체(영어로 ‘게놈’) 염기 서열이 거의 완벽하게 해독됐다.

 

유전체는 유전자(DNA)와 염색체를 합친 것. 염기는 유전자의 구성 물질을 말한다. 염기 서열에 따라 코의 모양, 쌍꺼풀 같은 신체 특성과 더불어 특정한 질병이 일어날 확률 등이 결정된다.

 

서정선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장팀과 우리나라 유전체 분석 회사인 ‘마크로젠’은 “한국인의 염기 서열을 가장 정밀하게 해독한 지도를 만들었다”면서 “이 지도는 아시아인의 표준 유전체 지도로 쓰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유전체 지도 개발로 아시아인을 위한 맞춤형 치료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백인과 흑인의 유전체를 분석한 유전체 지도가 국제적인 기준이어서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연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었다.

 

 

 

▶서정원 기자 monica89@donga.com

 
어린이동아 취재팀 kids@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지역난방공사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