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눈높이 사설]쿠데타 막은 SNS
  • 어린이동아 취재팀
  • 2016-07-24 21:18:31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터키에서 쿠데타가 일어난 지난 15일(현지시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SNS를 활용해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하고 있다. 이스탄불=AP뉴시스
 
 

1961년 5월 16일 새벽 남산의 중앙방송국. 숙직실에서 자던 26세 박종세 아나운서는 혼비백산(몹시 놀라 넋을 잃음을 이르는 말) 깨어났다. 헌병(군대 안에서 경찰역할을 주임무로 하는 군인)들이 들이닥치더니 곧 공수부대(특전사) 장병들이 방송국을 장악했다. 박정희 장군이 악수를 청하며 말했다. “*누란의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우리 군이 일어섰소. 5시 정각에 방송해줘야겠소.” 새벽 5시 시보(정확한 시간을 알려주는 일)와 함께 박종세가 혁명공약을 낭독했다. “친애하는 동포 여러분, *은인자중하던 군부는 드디어….”

 

방송국을 장악해 세상이 바뀌었음을 알리는 것이 쿠데타(무력으로 정권을 빼앗음) 성공의 관건이었다. ‘6시간 천하’로 끝난 터키 쿠데타를 보면 그것도 20세기에나 먹혔지 이제 약효가 떨어진 것 같다. 쿠데타를 일으킨 군이 TV 방송까지 내보냈지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순식간에 상황을 뒤집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평소 ‘불순(딴 속셈이 있어 참되지 못함)한 선전도구’라며 탄압했던 SNS의 위력을 십분 활용해 휴가지에서 자신의 건재(힘이나 능력이 줄어들지 않고 여전히 그대로 있음)를 알리고 지지를 호소했다. 시민들은 SNS로 소식을 공유하며 탱크를 막아섰다. SNS가 쿠데타의 문법을 바꾼 것이다.

 

쿠데타 세력은 오프라인 시설 점령에만 신경 쓰다 SNS 민심의 결집(한곳에 모여 뭉침) 속도에 허를 찔렸다. ‘쿠데타 진압의 1등 공신은 SNS’란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14년째 장기집권 중인 에르도안 대통령은 인권과 언론 탄압, 부정부패 의혹에 휘말리면서 권위주의적 통치로 국내외에서 비판받고 있다. 뭔가 잘못되면 남 탓, 외국 탓으로 돌려온 그가 실패한 쿠데타를 빌미로 ‘반대파 숙청(반대파를 제거하는 일)’에 나설 것이란 우려가 높다.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 폴리시’에 따르면 쿠데타의 첫째 원칙이 정부 수반(우두머리) 제압, 둘째 원칙은 내 편 아닌 모바일 세력의 손발 묶어놓기다. 이를 무시한 쿠데타 세력의 어설픈 거사 탓에 애먼 국민들만 후폭풍에 시달리게 생겼다. 그럼에도 SNS 민심은 왜 다섯 번째 쿠데타에 싸늘한 반응을 보였을까. 그 답은 미국 일간신문 뉴욕타임스에 실린 한 시민의 말에 담겨 있다. “최악의 민주주의가 최상의 쿠데타보다 낫다.” 세상의 모든 민주주의에 대하여 경배를.

 

동아일보 7월 19일 자 고미석 논설위원 칼럼 정리

 

※ 상식UP

 

누란: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이란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은인자중: 마음속에 감추어 참고 견디면서 몸가짐을 신중하게 행동함.

 

 

어린이동아 취재팀 kids@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