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눈높이 사설]미국과 유네스코, 불편한 관계
  • 어린이동아 취재팀
  • 2017-10-19 22:43:16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프랑스 파리에 있는 유네스코 본부(왼쪽)와 유네스코 새 사무총장으로 선출된 오드레 아줄레. 파리=신화통신뉴시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인류공영(함께 발전함)과 세계평화를 목표로 설립된 유네스코(UNESCO·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가 21세기 격한 외교 전쟁터가 됐다.

 

유네스코 하면 대부분 세계유산을 떠올린다. 바로 이 세계유산을 둘러싼 문제로 조직이 휘청거리고 있다. 2015년 7월 일본은 강제징용 조선인들을 동원해 해저 석탄을 캐냈던 군함도가 근대 산업혁명 유산이라며 한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문화유산에 등재(기록해 올림)시켰다. 유네스코는 “강제노역을 인정하라”는 권고를 붙였으나 일본은 실제로 행하지 않고 있다. 유네스코에 두 번째로 많은 분담금(나누어서 부담하는 돈)을 낸다는 이유로 걸핏하면 분담금을 무기로 휘두르는 일본이다. 2년 전 중국 *난징대학살의 기록유산 등재에 반발해 분담금을 보류하더니 올해도 지급을 미뤘다.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등재를 막으려는 의도일 것이다.

 

일본보다 두 배 이상의 돈을 내는 최대 후원국 미국은 내년 말 유네스코를 탈퇴한다고 12일 공식 발표했다. 1984년 ‘소련(지금의 러시아)에 치우쳤다’고 지적하고 방만(제멋대로 풀어짐)한 운영을 이유로 들며 탈퇴했다 2002년 복귀했으니 두 번째 탈퇴다.

 

이번 탈퇴 이유는 유네스코가 7월 요르단강 서쪽 헤브론의 성지를 이스라엘이 아닌 팔레스타인 유산으로 등재하는 등 ‘반(反·반대되는)이스라엘 성향’을 드러냈다는 것. 이스라엘도 뒤이어 탈퇴를 선언했다. 유네스코 측은 “유엔이라는 가족과 다자주의(여러 나라가 세계적인 협의체를 만드는 것)에 손실”이라고 걱정했다.

 

미국은 유네스코 창립을 주도했으나 뿌리 깊은 불만을 갖고 있다. 37개국이 참여했던 창립 당시와 달리 갈수록 미국의 영향력이 줄어든 탓이다.

유네스코 예산의 5분의 1을 부담하면서도 발언권은 되레 약화됐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도 한몫 거들었다.

 

어쨌거나 인류 보편적 가치를 논의하는 세계 외교 무대에서 미국이 초강대국으로서 막중한 위상과 책임을 팽개치는 일이 잦아졌다. 국제사회의 리더로서 오랜 시간 쌓아온 공든 탑을 스스로 무너뜨리는 것 같아 안타깝다.

 

동아일보 10월 14일 자 고미석 논설위원 칼럼 정리

 

※ 상식UP

 

난징대학살: 1937년 중일전쟁 당시 중국의 수도였던 난징을 점령한 일본군이 수십만 명을 학살한 사건.

 

미국 우선주의: 무역과 외교, 국방 등에서 미국의 이익을 가장 우선으로 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

 

 

어린이동아 취재팀 kids@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지역난방공사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