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눈높이 사설]농민은 여전히 속이 탄다
  • 어린이동아 취재팀
  • 2017-07-23 22:23:43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울산 지역의 갈라진 논바닥. 울산=뉴시스
 
 

지난달 인천 강화도 송해면에서 만난 김필모 씨(78)의 얼굴에선 가뭄 근심을 찾을 수 없었다. 5, 6월 강수량이 57㎜에 그쳐 1973년 기상 관측 이후 최악의 가뭄이었지만 갓 모내기를 끝낸 김 씨의 논엔 물이 가득했기 때문이다.

 

바다 건너에서 끌어온 한강 물 덕분이었다. 수년째 가뭄이 지속되자 한국농어촌공사와 인천 강화군은 지난해 경기 김포시 신곡양수장에서 강화도 북부 지역 5개 면 지역까지 총 89㎞의 임시관로를 설치했다. 40억 원에 달하는 예산 마련에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힘을 보탰다.

 

충청권에 집중된 폭우로 인명 피해까지 발생한 장마철에 가뭄 걱정은 뜬금없게 들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제대로 된 가뭄대책 마련을 위해선 가뭄이 해소(해결)된 것처럼 보이는 지금이 가장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여름 장마 피해에 묻혀 가뭄대책은 뒷전으로 밀리는 상황이 매년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가 ‘물 관리’ 패러다임(사람들의 생각을 지배하는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새 정부는 국토교통부의 수자원 관리 업무를 환경부로 이관(담당을 옮김)하며 ‘물 관리 일원화(하나로 만듦)’ 방침을 밝혔다. 국토부의 수자원 개발과 환경부의 수질 관리업무를 함께 추진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체 물 사용량의 48%를 차지하는 농업용수 공급은 여전히 농어촌공사와 각 지자체의 몫이다. 정부의 물 관리 일원화 구호가 공허하게 들리는 이유다.

 

무엇보다 근본적으로는 제대로 된 ‘물 그릇’을 확보해야 한다. 국내 저수지 1만7300여 개 중 1945년 이전에 설치된 저수지가 약 8800개(51%)에 이른다. 낡은 저수지와 수로에서 새는 물은 연간 6억5000만∼7억 t 정도로 추산(짐작하여 셈함)된다.

 

강수 편차(차이)가 극심해지고 지역별 강수량이 급변하는 한반도의 기상 여건을 고려하면 가뭄을 100% 예방하는 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봄에 화들짝 놀랐다가 여름만 되면 가슴을 쓸어내리고 모든 걸 잊어버리는 잘못된 관행은 끊어야 한다. 강화도의 사례에서 보듯 정답은 정부의 의지에 있다.

 

동아일보 7월 18일 자 박성민 경제부 기자 칼럼 정리

 

 

어린이동아 취재팀 kids@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