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승강장이 퇴근길에 오른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결혼을 하지 않는 미혼 인구가 늘고, 저출생(일정한 기간에 태어난 사람의 수가 적음)이 이어짐에 따라 우리나라 청년(19∼34세)의 인구가 30년 뒤엔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어요.
통계청은 27일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분석한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변화(2000∼2020)’를 통해 이런 내용을 발표했어요. 자료에 따르면 현재의 청년세대(2020년 기준)는 1021만3000명으로 한국의 총인구(약 5000만 명)의 약 20%를 차지해요. 하지만 30년 후인 2050년에는 청년 인구가 521만3000명까지 줄어들어 전체 인구의 불과 11%만이 청년 인구일 것으로 예측돼요. 청년 인구는 우리 경제를 이끌어가는 핵심 인구인데, 청년이 줄면 노동력 또한 줄어들어 경제가 불안정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우려가 커요.
청년 인구가 줄어드는 원인으로는 갈수록 늘어나는 미혼율이 꼽혔어요. 19∼34세 가운데 미혼의 비중은 △2000년 54.5% △2010년 68.9% △2020년 81.5%으로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 남녀가 결혼하는 일반적 연령대인 30∼34세에서도 미혼 비중은 56.3%를 기록해 절반을 뛰어넘었습니다. 이는 2000년(18.7%)과 비교하면 약 3배로 늘어난 것이지요.
이처럼 청년 인구 가운데 결혼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결혼 시기가 늦어져 새로 태어나는 아이가 줄어들면서 30년 뒤에는 현재 절반 수준의 청년 인구를 기록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와요.
이 외에도 통계청은 청년 세대가 수도권으로 모여드는 ‘수도권 집중 현상’과 홀로 사는 1인 가구 청년들도 늘고 있다고 분석했어요.
▶어린이동아 권세희 기자 ksh0710@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jek0113 2023-11-29
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