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경찰 등 수사관들이 현장감식을 벌이고 있다. 뉴시스
지난달 31일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 광장에 설치된 이태원 참사 합동 분향소에서 시민들이 헌화하고 있다.
이태원 참사는 국내에서 발생한 압사(무거운 것에 눌려 숨짐) 사고 가운데 역대 최다 인명피해를 낸 사고로 기록될 것이라고 한다. 사실 군중(한곳에 모인 많은 사람) 압사 사고는 전형적인 후진국형 인재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60여 년 전 한 해 걸러 잇달아 수십 명이 생명을 잃은 압사 사고가 일어났다. 1959년 부산공설운동장에서 시민위안잔치 관중들이 소나기를 피해 출입구로 몰리면서 67명이 숨졌고, 1960년 설날을 앞두곤 귀성객들이 서울역 승강장에 몰려 31명이 숨졌다.
이후 그런 대규모 압사 사고는 크게 줄었지만 이태원 참사를 예고하는 크고 작은 사고는 끊임없이 이어졌다. 2014년에도 판교테크노밸리 축제 공연 도중 환풍구(건물 안의 공기를 밖의 공기와 바꾸기 위해 뚫어 놓은 구멍)가 붕괴되면서 그 위에 올라갔던 관객 16명이 추락해 숨졌다. 특히 코로나19 거리 두기가 해제되면서 전국 곳곳에서 열린 축제와 이벤트 행사, 각종 집회에는 대규모 인파(수많은 사람을 이르는 말)가 한꺼번에 몰려들어 인명피해 사고 직전까지 가는 위험천만한 일도 빈번했다.
3년 만의 노 마스크 핼러윈 축제를 맞아 이태원에 인파 10만 명이 몰려들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는데도 그 일대의 혼란을 막기 위해 필요한 안전조치는 크게 미흡(만족스럽지 않음)했던 것으로 보인다. 경찰과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의 사전 대비와 현장 통제는 안이하고(너무 쉽게 여기는 태도나 경향이 있다) 소홀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경찰이 치안 강화와 교통 통제 등 목적으로 매일 200여 명을 이태원 일대에 배치했다지만 이번 사고를 막기엔 턱없이 부족했다. 특히 사고 하루 전날에도 인파가 몰리면서 유사한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할 뻔했는데도 제대로 된 예방조치는 없었다.
차제(때마침 주어진 기회)에 군중이 몰리는 각종 대형 이벤트에 대한, 나아가 지하철 경기장 공연장 같은 군중 밀집 장소에 대한 보다 면밀한 사고예방과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세계 각국은 위험 수준의 군중 밀집도를 예측해 방지, 대비하는 군중 관리 프로세스 등 각별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
안전은 곧 국격(國格·나라의 품격)의 ㉠가늠자다. *‘한국 속 작은 외국’이라는 이태원에서 벌어진 이번 참사는 대한민국의 안전도(사물의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정도)를 총체적으로, 나아가 구석구석 살펴보는 계기가 돼야 한다. 지진이나 화재, 침몰 같은 각종 재난은 물론이고 산업재해 안전사고가 하루가 멀다 하고 일어나는 '불안한 사고 공화국'에 대한 깊은 성찰과 반성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개발과 성장의 속도전에 가려져 있던 느슨한 안전기준과 소홀한 감시·감독 등 우리 사회 전반의 안전관리 체계를 꼼꼼하게 재점검해야 한다. 정부뿐 아니라 기업과 단체, 국민 모두가 안전에 대한 책임의식을 되돌아보는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절실하다.
동아일보 10월 31일 자 사설 정리
▶어린이동아 김재성 기자 kimjs6@donga.com, 이선행 기자 opusno1@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