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인구수축사회, 붕괴 막을 대책 필요하다
  • 이채린 기자
  • 2021-01-12 14:38:09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인구수축사회, 붕괴 막을 대책 필요하다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판을 보고 있는 모습. 동아일보 자료사진



한 병원 신생아실의 모습. 뉴시스 자료사진


[1] 지난해 한국의 주민등록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한 데 이어 국내 총인구(국내에 살고 있는 내국인과 외국인을 합한 실질적 인구)도 2028년 이전에 정점(맨 꼭대기가 되는 곳)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대로 가면 심각한 노동 공백과 경제성장률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2] 한국이 ‘인구수축사회’에 본격 진입하면 경제 활동을 하고 세금을 내는 국민이 줄어들기 때문에 국가 재정에도 심각한 타격을 준다. 전체 인구에서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이미 2015년에 정점을 찍었고 2056년에는 전체 인구의 절반 이하(49.9%)로 떨어지게 된다.


[3] 출산율이 내리막길을 걷는 상황에서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부작용을 막는 방법은 외국인 고용을 확대하거나 *정년을 연장하는 것뿐이다. 특히 연금과 건강보험 등의 재정과 맞물려 있는 ‘정년 연장’ 문제에 대해서는 사전에 충분한 사회적 협의를 하고 세세한 부분까지 검토해야 한다.

[4] 정부는 지난해 6월 정년 연장 카드를 꺼냈지만 기업계의 강한 반발에 부닥쳐 됐다. 기업들의 반발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근로자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면 60∼64세 연령의 추가 고용에 따른 비용이 약 15조9000억 원 든다. 다른 대책 없이 기업에만 비용을 떠넘기면 감당할 수가 없는 것이다.

[5] 1994년부터 60세 정년을 시행했던 일본은 2006년 65세 정년 법을 만든 뒤 7년 동안이나 논의를 거쳐 2013년 시행했다. 일본은 기업에 풍부한 재량권(자기의 생각과 판단에 따라 일을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등의 방법으로 기업 부담을 부단히 줄였다. 우리도 이런 사례 등을 참고해 기업들이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정년 연장 로드맵을 제시한 뒤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장년층과 외국인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놓고 청년들과 제로섬 게임(한쪽의 이득과 다른 쪽의 손실을 더하면 0이 되는 게임)을 벌이지 않도록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도 정부가 해야 할 일이다.

동아일보 1월 11일 자 사설 정리





▶어린이동아 이채린 기자 rini1113@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