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위기의 조선족 한글
  • 최유란 기자
  • 2020-09-20 13:08:54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 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2016년 중국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 허룽의 시가지 모습. 한글로 된 간판들이 보인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지난해 방문한 중국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의 룽징은 남의 땅 같은 느낌이 들지 않았다. 룽징 주민 대다수가 조선족인데다 거리 간판마저 한글로 표기돼 있었다. 그 한글이 이제 중국에서 사라질지도 모른다. 중국 당국이 ‘민족 통합 교육’을 내세우면서 중국 표준어(만다린어)를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의 국어로 사용하는 정책을 표명(생각이나 태도를 드러내어 명백히 밝힘)했기 때문이다. 시진핑 주석이 지난해 9월 ‘전국 민족단결진보 표창대회’에서 “민족 교육과 국가 통용 언어문자 교육을 전면 강화해야 한다”고 연설한 것과 맥을 같이한다.

중국 내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국어화 정책은 2010년대부터 본격화됐다. 중국 당국은 2017년 신장위구르자치구, 2018년 티베트자치구에서 위구르어와 티베트어 교육을 축소시키고 중국어 강화 정책을 강행(강제로 시행함)했다. 2018년 5월에는 티베트족 사업가가 사라져가는 티베트어 보존 캠페인을 벌이다가 ‘분열선동죄’라는 죄목으로 5년 실형 선고까지 받았다. 영국 BBC방송은 지난해 7월 “중국당국이 위구르에서 조직적으로 소수민족 어린이들을 부모와 격리(다른 것과 통하지 못하게 사이를 막거나 떼어 놓음)한 뒤, 고유의 신앙과 언어를 말살시키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어린이들이 위구르어 사용을 금지당한 채 중국어와 중국 문화를 배우고 있다는 것.

신장위구르자치구나 티베트자치구와 달리 북방의 조선족자치구와 네이멍구자치구는 별다른 분리주의(지배 세력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소수 집단의 이념 및 목표) 움직임이 없는 지역이다. 그런데도 중국 당국은 올해부터 이 지역에서도 중국어 강화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몽골족 학부모와 학생 수천 명이 “우리의 모국어는 몽골어”라며 시위를 벌이고 등교 거부 운동까지 했다.

랴오닝성, 지린성 등에 흩어져 있는 조선족 초·중학교 일부도 이번 9월 신학기부터 한글이 빠진 중국어 국정교과서 ‘어문’을 국어 교재로 사용할 예정이다. 조선족 사회에서는 몽골의 경우처럼 역사, 도덕 등 다른 과목에까지 중국어를 확대시킴으로써 전통문화와 한글이 위축(마르고 시들어서 졸아듦)될 것이라고 걱정한다. 게다가 중국 대입제도에서 소수민족에게 가산점을 주는 특혜(특별한 혜택)마저 폐지되면 한국어가 점차 사라져 없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중국 공산당의 소수민족 언어 정책은 미국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지난해 9월 캘리포니아 주 의회는 매년 10월 9일을 ‘한글날(Hangul Day)’로 지정해 기념일로 선포했다. 한국어는 미국 대입시험 외국어 과목에도 포함돼 있다. 한글 말살 정책이 극에 달했던 일제강점기에 만주 지역으로 건너간 한국인들이 후세(다음 세대의 사람)들에게 한글을 교육하며 한국어를 굳건히 지켰듯이 이번에도 한글을 잘 지켜가기를 응원한다.

동아일보 9월 16일 자 안영배 논설위원 칼럼 정리
※오늘은 동아일보 오피니언 면에 실린 칼럼을 사설 대신 싣습니다.


▶어린이동아 최유란 기자 cyr@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