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끝나지 않은 전쟁’ 6·25 70주년
  • 장진희 기자
  • 2020-06-28 16:24:34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1950년 12월 AP통신 맥스 데스퍼 기자가 대동강 다리 잔해를 기어올라 강을 건너는 피란민을 촬영한 사진. 동아일보 자료사진

6·25전쟁이 발발(갑자기 일어남)한 지 70년이 지났다. 6·25는 일제 강제 병합(둘 이상의 나라가 하나로 합쳐짐)과 더불어 우리 근현대사의 가장 큰 비극이었으며 여전히 한반도의 정치·안보지형에 큰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3년간 전쟁으로 국군 13만7000여 명, 미군 3만3000여 명을 포함한 유엔군 3만7000여 명이 전사(전쟁터에서 적과 싸우다 죽음)했다. 이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풍요는 없었을 것이다. 이들이 흘린 피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했던 나라가 세계 6대 제조 강국,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는 토대가 됐다.

6·25가 김일성이 소련(옛날의 러시아)의 승인과 지원을 받아 일으킨 계획적인 남침(남쪽을 침범함)이었다는 것은 옛 소련의 외교문서들을 통해 거듭 확인된 역사적 사실이다. 그런데도 긴 세월이 흐르면서 젊은 세대 중에는 누가 6·25를 일으켰고, 누구에게 가장 큰 책임이 있는지 등에 대해 잘 모르는 이들이 많다. 남북화해협력을 강조하는 대북정책이 추진되는 와중에 초중고 교과서 등에도 6·25 관련 내용이 줄면서 6·25와 북한의 책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갈수록 흐릿해지고 있다. 6·25의 역사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되새겨야 할 정부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도 당사국으로서 부끄러운 일이다. 전국의 지자체들도 코로나19 사태를 이유로 70주년 기념식을 줄줄이 취소했다.

반면 해외 참전국들에서는 6·25 70주년의 의미를 활발히 조명하고 있다. 미 상원과 하원에서는 ‘한국전 70년과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념하는 결의안’이 발의됐고, 호주 시드니에선 참전용사(전쟁에 참가한 용감한 군사)들의 얼굴 사진과 ‘70년의 우정,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붙인 경전철이 5주 동안 도심을 달리고 있다. 하지만 정작 우리 국회는 아무런 결의안도 내지 않았다.

6·25 때 사망하거나 실종된 민간인(군인이 아닌 일반 사람)은 남북한을 합쳐 145만여 명에 이른다. 6·25 70주년은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이 없어야 함을 일깨워준다.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힘을 가져야 하고, 언제라도 외침을 격퇴할 수 있는 완벽한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남북 간 긴장완화와 비핵화를 위해 북한과 대화를 지속해 나가되 교류협력의 대상이자 주적인 북의 이중적 실체에 대해 한시도 경각심(경계하는 마음)을 늦춰선 안 될 것이다.

6월 25일 자 동아일보 사설 정리



▶어린이동아 장진희 기자 cjh0629@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지역난방공사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