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풍토병’ 코로나
  • 김재성 기자
  • 2020-06-25 12:53:35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최근 코로나19가 집단 발병한 중국 베이징 농수산물 시장 밖에서 방역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베이징=AP뉴시스




[1] “코로나19 종식(매우 성하던 현상이 끝남)은 불가능한 목표다.” 21일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오명돈 위원장의 기자회견 발언은 섬뜩할 정도로 명쾌했다. 그는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돼 집단면역이 형성되지 않는 이상…방역 목표는 코로나 종식이 아닌 인명 피해의 최소화”라고 잘라 말했다. 마음은 오히려 가벼워졌다.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될 때까지’ 코로나와 동거(같이 삶)할 수밖에 없다는 건 어렴풋이나마 각오하고 있던 터였다.


[2] 문제는 백신이나 치료제에 대한 기대에도 불안감을 안겨주는 최신 연구 결과들이다. 최근 중국에서 재확산 중인 바이러스는 우한에서 시작된 1차 유행 바이러스의 변종(‘D614G’)으로 코로나 완치 환자도 면역이 안 되고 항체 치료와 백신 개발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초기 바이러스보다 침투 능력은 2.4배, 전염성은 10배 강해졌다. 우한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한 현재의 백신 개발 경쟁은 쓸모없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3] 인류가 20세기 초에야 바이러스의 존재를 발견했을 정도로 바이러스의 세계는 미지의 영역이 많다. 1918∼1919년 5000만 명을 희생시킨 스페인독감의 원흉(못된 짓을 하는 우두머리)이 조류인플루엔자A(H1N1) 바이러스였음은 2005년에야 밝혀졌다. 인류에게 치명적 상흔(상처 입은 자리에 남은 흔적)을 남긴 세균·바이러스들은 대부분 어느 지역의 *풍토병이 다른 대륙으로 확산된 것들이다. 가령 콜레라는 인도 갠지스강 유역, 에볼라 출혈열(장기·피부에 출혈이 나타나는 질병)이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은 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오랜 풍토병이었다.


[4] 코로나19도 감기나 인플루엔자(독감)처럼 계절성 풍토병으로 정착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그러기엔 높은 ㉠치사율(어떤 병에 걸린 환자에 대한 그 병으로 죽는 환자의 비율)이 마음에 걸린다. 21일 현재 치사율은 한국 2.3%, 미국 5.3%지만 프랑스는 18.5%에 이른다. 메르스는 치사율이 30%지만 전염력이 코로나에 비교도 안 된다. 스페인독감 2.5%(2차 유행 시), 인플루엔자는 1% 미만이다. 사스와 스페인독감은 흔적을 감췄지만 인플루엔자는 변종이 많아 매년 새 백신을 개발해야 하는 풍토병으로 정착됐다.


[5] 코로나와 함께 사는 세상은 앞으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세계는 언택트(untact·비대면)와 4차 산업혁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방역과 경제가 조화된 ㉡‘뉴 노멀(New Normal·과거와 다른 새로운 일상)’이 부상했고 코로나가 사라지더라도 이전 세상으로 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다. 빌 게이츠는 최근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극복의 힘을 인류의 ‘혁신 능력’에서 찾자고 했다. 다만 전염병이 몰고 온 ‘단절(관계를 끊음)’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는다. 국경이 닫히고 교류가 줄며 사람 간 만남과 접촉이 회피되는 세상에서, 인류는 또 어떤 ‘즐거운 일’을 찾아낼까.




동아일보 6월 24일 자 서영아 논설위원 칼럼 정리


※오늘은 동아일보 오피니언 면에 실린 칼럼을 사설 대신 싣습니다. 




▶어린이동아 김재성 기자 kimjs6@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 어동1
    • natebest   2020-07-01

      코로나를 풍토병으로 생각한다는 건 끔찍하긴 하지만 인정해야 할것 같긴하다.
      최근 뉴스에서 중국에서 돼지독감이 또 발병 되었다고 하고 코로나 전에도 주많은 바이러스들이 많이 지나갔다. 현대 사회에서는 끊임없이 생겨나는 바이러스에 이제는 처음인것처럼 대응하다기 보다 늘 개인방역 사회방역 국가방역에 신경써야 할것 같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