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달 착륙 50주년
  • 이지현 기자
  • 2019-07-18 13:58:23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달에 첫발을 내딛는 닐 암스트롱. AP뉴시스​


버즈 올드린이 달 위를 걷는 모습​


우주비행사는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직업’으로 통한다. 우주선 조종과 각종 실험을 위한 탁월한 신체능력과 명석한(생각이나 판단력이 분명하고 똑똑한) 두뇌는 기본이다. 돌발적인 극한 상황에 굴하지 않는 정신력, 비좁은 우주선 내 공동생활에 필요한 사회성 등 그야말로 전인적(지식과 따뜻하고 의로운 마음을 갖춘 사람) 능력이 요구된다.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남긴 *닐 암스트롱은 여기에 문학적 ㉠감성까지 갖춘 듯하다.​

“개인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가 달 표면에 착륙한 뒤 암스트롱은 이렇게 말했다. 당시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은 이날의 성취를 언급하며 “창세기 이후 세계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한 주”라고 표현했다. 우주선의 무사 귀환을 장담할 수 없었기에 미리 준비했다는 닉슨의 ㉡추모 연설문이 훗날 공개된 것도 흥미롭다. ‘그들은 희생을 통해 인류가 희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우리 모두는 또 다른 세계에 인류의 흔적이 남아 있음을 기억하게 될 것입니다.’

달 착륙은 미국인뿐 아니라 인류에게 새 희망과 도전의식을 심어준 ㉢위업이었다. 그 거대한 여정의 첫걸음은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라이스대학의 연설에서 “10년 안에 달에 가기로 결정했다”고 선언하면서 시작됐다.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선택한 것이다. 이 일은 우리가 가진 힘과 능력의 최고치를 보여 줄 것이기 때문이다.” 케네디가 우주 경쟁에서 한발 앞선 소련을 넘어서기 위해 ‘달 착륙’이란 새 좌표를 설정한 것을 계기로 역사의 물줄기는 달라졌다. 이후 소련은 미국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세계의 관심이 다시 한번 우주 탐사에 쏠리고 있다. 미국은 1972년 아폴로 17호를 끝으로 중단했던 유인 달 탐사를 재개할 ㉣방침이다. 올 1월 인류 최초로 달 뒷면에 무인 달 탐사선을 착륙시킨 중국도 우주인을 달에 보내는 계획을 세웠다. 일론 머스크 등이 주도하는 민간 우주탐사기업을 통한 달나라 여행도 머지않았다. 지난주 일본 열도는 긴박한 한일관계도, 코앞에 닥친 참의원 선거도 아닌 우주 탐사 관련 뉴스로 들썩였다. 자국 탐사선 ‘하야부사2’가 지구에서 약 2억8000㎞ 떨어진 소행성 ‘류구’에 착륙해 지하의 암석 채취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는 소식이었다. 한국은 어디쯤 와있는가. 왜 다들 막대한 비용을 들여 우주 탐사에 나선 것일까. 그 대답의 실마리는 러시아 로켓 과학의 선구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1857∼1935)의 말에서도 찾을 수 있다. “지구는 인류의 요람이지만 영원히 요람에 남을 수는 없다.”

동아일보 7월 17일 자 고미석 논설위원 칼럼 정리

※오늘은 동아일보 오피니언 면에 실린 칼럼을 사설 대신 싣습니다.




▶어린이동아 이지현 기자 easy2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