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테크핀(TechFin)
  • 김재성 기자
  • 2019-07-04 19:38:33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카카오페이를 활용해 간편결제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동아일보 자료사진



[1] 국내 언론에 *핀테크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건 2014년 무렵이다. 카카오톡에 기반을 둔 간편결제 서비스 ‘카카오페이’, 간편송금 서비스 ‘토스’ 등이 출범한 해다. 모바일 결제 대명사인 미국 페이팔의 탄생보다 15년 늦었지만 국내에서도 정보기술(IT)을 결합한 새로운 금융 서비스가 태동(어떤 일이 생기려는 기운이 싹틈)한 것이다. 이때부터 금융업 종사자들에겐 핀테크 허브(중심이 되는 곳)로 부상한 영국 런던 테크시티로 출장 가는 게 유행이 됐다. 


[2] 이제 핀테크를 넘어 *‘테크핀’이 화두(관심을 두어 중요하게 생각할 만한 것)가 되고 있다. ㉠금융(Fin)에 기술(Tech)을 더한 핀테크에서 단어 순서만 바꿨을 뿐이지만 그 뜻은 차이가 크다. 기술이 금융산업의 발전을 지원하는 시대, 즉 금융회사가 IT를 활용하는 게 핀테크였다면 테크핀은 기술이 금융 발전을 견인하는 개념이다. 금융혁신의 주도권이 금융회사에서 IT 기업으로 넘어간 것이다. 중국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이 2016년 “중국은 5년 안에 현금이 필요 없는 사회로 진입할 것”이라며 테크핀 용어를 처음 썼다.


[3] 테크핀 시대를 증명하듯 간편송금으로 출발한 토스는 5년 새 신용정보 조회, 펀드·대출상품 판매, 해외 주식 투자 등으로 ㉡영토를 넓혔다. 카카오페이는 1년 만에 체크카드 100만 장 발급 기록을 세우며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 금융시장까지 잠식(조금씩 침략하여 먹어 들어가는 것)하고 있다.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의 경쟁으로 간편결제 하루 이용액은 1200억 원을 넘어섰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블록체인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결합해 테크핀의 진격 속도는 더 빨라질 일만 남았다. 


[4] IT 기업발(發) 금융 빅뱅(큰 변화가 갑작스럽게 퍼지거나 일어나는 것)은 세계적 추세다. 미국의 구글 아마존, 중국의 알리바바 텐센트 등이 금융과 IT 산업 간의 경계를 허물며 다양한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페이스북은 24억 명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 ‘리브라’ 발행을 앞두고 있다. 아이디어와 기술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금융시장을 파고들 수 있으니 다급해진 건 기존 금융사다. 일찌감치 로이드 블랭크파인 골드만삭스 회장은 “우리는 기술기업”이라고 선언했다. 


[5] 하지만 한국의 테크핀은 경쟁국에 비하면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와 기술력을 갖췄지만 새로운 서비스 출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많은 탓이다. 비(非)금융사가 의결권 있는 은행 지분을 4%(인터넷전문은행은 34%) 이상 보유하지 못하게 하는 은산분리 규제가 대표적이다. IT 기업이 선도하는 금융혁신 실험들이 신산업으로 이어지려면 낡은 규제부터 손봐야 한다. 테크핀 시대에 발맞추지 못하면 한국 금융의 미래도 없다. 


동아일보 7월 3일 자 정임수 논설위원 칼럼 정리


※오늘은 동아일보 오피니언 면에 실린 칼럼을 사설 대신 싣습니다. 




▶어린이동아 김재성 기자 kimjs6@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