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Art&History] 분단 55년 만에 맞잡은 두 손
  • 장진희 기자
  • 2019-06-09 14:24:35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2000년 6월 13·15일, 남북정상회담 개최 및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

[역사 속 그날] 올해는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입니다. 기나긴 역사를 간직한 우리나라에선 과거에 어떤 중대한 사건들이 있었을까요? 매주 월요일 선보이는 ‘역사 속 그날’ 코너를 통해 역사 지식을 쑥쑥 키워보세요.  

역사 속 이번 주엔 어떤 일이 있었을까? 기록이 뚜렷하게 남아있는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시작으로 근현대까지의 같은 날 있었던 사건들을 한 주 단위로 파악합니다. 이번 주는 6월 9~15일 발생했던 역사적인 사건들을 살펴보세요.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2000년 남북 정상회담을 열고 악수하고 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2000년 6월 13·15일, 남북정상회담 개최 및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

“남북관계는 화해와 협력, 평화 정착에 토대를 두고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1998년 제15대 대통령에 당선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이렇게 밝혔습니다. 야당 정치인 시절부터 흡수통일 대신 점진적 평화통일을 주장했던 김 전 대통령은 당선 후 햇볕정책을 통해 역사상 첫 남북 정상회담을 이끌어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은 이전 정부가 취해왔던 대북 강경정책은 효력을 다했다고 봤습니다. 북한과 대립하는 것보다 경제적 지원과 교류를 통해 남북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한반도의 긴장상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것이지요. 김 대통령의 햇볕정책 아래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1998년 6월과 10월 두 차례 소떼를 이끌고 북한을 방문한 일 등을 계기로 남북 경제협력 방안 논의가 활성화됐습니다.

남북 교류의 물꼬가 터진 가운데 2000년 6월 13일, 북한 평양에서 김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만나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했습니다. 1945년 분단이후 55년 만에 처음 남북의 정상이 만난 자리였습니다.

회담 마지막 날인 15일 두 정상은 △남북 간 화해와 통일 △긴장완화와 평화정착 △이산가족 상봉 △경제·사회·문화 등 다방면의 교류 협력 등 4대 원칙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냈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6·15 남북공동선언’을 발표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고 소감을 발표하고 있다

[한 뼘 더] 노벨평화상 받은 김대중 전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와 화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노벨상 위원회 측은 “한반도에 남은 냉전(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국가들이 대립한 상태)의 잔재(생활양식의 찌꺼기)를 녹이는 과정에서 김대중 대통령보다 많이 기여한 사람은 없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지요.

김 전 대통령은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 시청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노벨평화상은 세계 인류에게 평화를 위해 헌신하도록 격려하는 숭고한 메시지”라며 “한국과 세계의 인권과 평화, 우리 민족의 화해와 협력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987년 6월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시민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1987년 6월 10일,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가 주최하는 호헌철폐국민대회 개최

1979년 12·12 사태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당시 대통령은 1987년 4월 13일 호헌(헌법을 보호함)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대통령을 국민들의 투표로 뽑는 직선제 개헌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모두 무시하고, 간선제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지요. 이를 지켜볼 수 없었던 시민들은 전국 각지에서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시위를 이어갔습니다.

그러던 중 1987년 5월에는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이 ‘서울대생 박종철 군 고문 치사(죽음에 이름) 사건’이 잘못 알려지거나 축소됐다는 사실을 알렸습니다. 6월 9일에는 연세대 학생인 이한열 군이 시위 과정에서 최루탄을 머리에 맞아 결국 숨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전두환 정권에 큰 불만을 품게 된 시민들은 1987년 6월 10일부터 20여 일간 거리로 나와 시위를 벌였습니다.

전국적으로 대규모 시위가 계속되자 전두환 정권은 호헌 조치를 거둬들였습니다. 당시 집권당인 민주정의당의 대통령 후보였던 노태우는 ‘6·29 선언’을 통해 국민의 직선제 개헌 요구를 받아들이겠다고 발표하기에 이릅니다.​


조선 후기 개혁을 추진했던 문신 김홍집


1894년 음력 6월 15일, 군국기무처 설치 및 갑오개혁 시작​

호시탐탐 조선 침략을 노리던 일본은 1894년 조선 땅에 건너와 내정간섭(강제로 다른 나라 정치에 간섭함)을 시작했습니다. 일본 공사는 군사들을 시켜 경복궁을 포위한 다음 당시 조선의 왕이었던 고종을 협박하고 군국기무처를 설립하도록 했습니다. 군국기무처는 1896년까지 이어진 갑오개혁을 주도했던 임시 합의기관입니다.

김홍집을 최고 책임자로 하는 군국기무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으로 조선의 근대적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먼저 중앙 관제(국가 행정 조직을 정하는 법규)를 개혁해 궁중 부서를 궁내부와 의정부로 나누고 의정부 밑에는 8아문(관리들이 정무를 보는 곳)을 설치했습니다. 과거제를 폐지했고 모든 세금을 쌀 대신 화폐로 내게 했지요. 노비를 사고파는 것이 금지됐고 공식적으로는 양반과 평민을 구분하는 신분제를 없앴습니다.

일본은 조선을 근대 국가로 만들어 중국의 간섭을 떨치고자 했습니다. 또 일본에 대항할 양반 세력의 힘을 축소하기 위해 신분제를 폐지하는 갑오개혁을 추진한 것이지요.​


▶어린이동아 장진희 기자 cjh0629@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지역난방공사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