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바르게 살다 가서 고맙다”
  • 장진희 기자
  • 2019-01-10 15:38:49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고 임세원 교수의 영결식(죽은 사람을 떠나보낸다는 뜻으로 행하는 의식)에서 그를 추모하고 있다. 뉴시스

환자가 휘두른 흉기에 희생된 고 임세원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어머니가 아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건넸다. “아들아, 바르게 살다 가 줘서 고맙다.” 납골(봉안)공원에 함께 있던 가족과 동료들은 오열(목메어 욺)했다. 단장(斷腸·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의 고통에 빗대는 자식 잃은 슬픔을 삼키면서도 어머니는 누구를 원망하는 대신 아들의 삶에 감사했다.

어머니는 ‘남보다 잘 살아라’가 아닌 ‘바르게 살아라’라고 가르쳤다. 아들은 삶으로, 또 죽음으로 이를 실천했다. 임 교수에게 진료를 받았던 환자들은 임 교수가 평소 환자의 아픔에 진심으로 공감하던 ‘좋은 의사’였다고 했다. 예약 없이 불쑥 찾아온 환자를 진료시간이 지났는데도 거절하지 않았다가 참변(뜻밖의 사고)을 당했다. 장례식장에는 그를 추모하는 환자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았고 동료 의사들은 “이렇게 환자가 많이 찾는 의사 장례식은 처음 본다”고 말했다. 생명이 위급한 순간에도 두 번이나 멈칫한 채 뒤를 돌아보며 “도망쳐” “신고해”를 외쳐 주변 사람들을 구했다.

유족들의 의연한 태도에도 숙연(고요하고 엄숙함)해진다. 임 교수의 죽음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정신적 고통을 겪는 모든 사람이 사회적 낙인 없이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받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유족의 뜻’이라고 밝혔다. 하마터면 정신질환자의 일탈로 귀결될 뻔한 사회적 논의의 방향이 발전적으로 바뀌었다. 조의금(죽음을 슬퍼하는 뜻으로 내는 돈)은 병원과 학회에 기부해 이들의 치료를 돕는 데 쓰겠다고 했다. 사랑하는 가족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사회적 의미로 확장시킨 것이다.

유족들은 6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 ‘감사의 글’을 보내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없는 치료와 사회적 지원을 재차 당부했다. 참척(慘慽·자손이 부모나 조부모보다 먼저 죽는 일)의 고통 속에서도 ‘감사’를 말할 수 있는 유족들로 인해 가슴이 먹먹해진다. 유족들은 고인에게 “생명이 위협받는 순간에도 주위를 살펴봐 줘서 고마워요. 그 덕분에 우리가 살았어요. 우리 함께 살아보자는 뜻 잊지 않을게요”라며 작별인사를 했다. ‘우리 함께 살아보자’가 고인이 남긴 뜻이었다. 내 자식만 바라보는 부모에게, ㉠각자도생(各自圖生·제각기 살아 나갈 방법을 꾀함)
에 버둥대는 우리에게 고인과 유족이 남긴 울림이 메아리처럼 퍼져 나간다.

동아일보 1월 7일 자 우경임 논설위원 칼럼 정리

※오늘은 동아일보 오피니언 면에 실린 칼럼을 사설 대신 싣습니다.



▶어린이동아 장진희 기자 cjh0629@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