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유네스코 유산 군함도’ 강제징용 외면하는 일본
  • 김보민 기자
  • 2018-07-08 15:10:33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일본의 군함도 꼼수

눈높이 사설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일본 나가사키의 하시마 탄광. 동아일보 자료사진​


일본 나가사키에 가면 나가사키 평화자료관이 있다. 한국인 원폭(원자폭탄)피해자 실태를 조사하고 재일(일본에 살고 있음) 한국인의 인권을 위해 헌신한 오카 마사하루 목사를 기리기 위해 1995년 시민들이 세운 박물관이다. 그는 1974년 나가사키 하시마(일명 *군함도) 탄광에서 여기저기 나뒹굴고 있는 사망자들의 유골과 명부(사람의 이름·주소 등을 적은 장부)를 발견했다. 명부엔 한국인 이름이 ㉠즐비했다. 그때 그의 삶이 바뀌었다.
 

​1988년 소설가 한수산은 일본 도쿄의 한 서점에서 ‘원폭과 조선인’이라는 책을 만났다. 오카 마사하루가 쓴 책이었다. 하시마 탄광, 한국인 강제징용(강제로 끌고 가 노동을 시키는 행위), 나가사키 피폭(폭격을 받음)... 한수산에겐 충격이었다. 그는 1990년부터 취재를 시작했다. 군함도와 나가사키를 수십 차례 찾았고 수많은 피해자를 만났다. 일본 전역을 훑었고 원폭 실험을 했던 미국 네바다까지 방문했다. 소설 ‘군함도’는 2016년 그렇게 태어났다. 한수산은 “소설 쓰는 내내 부끄러울 뿐이었다”고 고백했다.
 

군함도 등 일본 근대산업시설은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기록에 오름)됐다. 당시 침략유산이라는 비판이 일자 일본은 한국인 등의 강제노역을 인정했다. 또 이 같은 사실을 명기(분명히 기록함)하고 희생자를 기리는 정보센터를 설립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일본은 지키지 않았다. 탄광에 안내판을 새로 설치했지만 ‘강제동원’이란 표현은 빠졌다. 지난해 11월 유네스코에 제출한 후속조치 경과보고서를 보면, ‘강제’ 대신 ‘지원’이라는 표현을 넣었다. 정보센터는 나가사키가 아니라 멀리 떨어진 도쿄에 그것도 싱크탱크(연구하는 집단) 형태로 설치하겠다고 돼 있다.​

​7월 4일까지 바레인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열렸다. 유네스코는 일본의 경과보고서를 평가하는 결정문을 채택한다. 외교부 관계자는 지난달 25일 “강제노역 사실이 결정문에 각주(본문의 어떤 부분을 보충하거나 풀이한 글을 아래쪽에 따로 단 것) 형태로 명기될 것이고 일본에 후속조치 이행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부의 설명은 답답하게 들린다. 3년이 지나도 안내판 하나 제대로 세우지 않는 일본이다. 2019년 말까지 추가보고서를 낸다지만 일본이 바뀔 것 같지는 않다.
 

동아일보 6월 26일 자 이광표 논설위원 칼럼 정리​

※오늘은 동아일보 오피니언면에 실린 칼럼을 사설 대신 싣습니다.




▶어린이동아 김보민 기자 gomin@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