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99주년 3·1절, 일본은 위안부 문제 해결해야
  • 김보민 기자
  • 2018-03-11 16:28:58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일본, 3·1운동 100주년 전에 위안부 문제 풀라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
해력이 키워집니다.​



3·1절 100주년을 한 해 앞두고 있다. 남녀노소 지역 종교 신분 계급을 넘어 전 민족이 단결해 일제의 총칼에 비폭력으로 맞선 3·1운동은 조선인의 역량을 비하하던 일제의 ㉠간담을 서늘케 해 그들의 *‘무단(武斷) 통치’를 중단시켰다. 세계사적으로는 1차 세계대전 종전 후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민족이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주장)의 영향을 받아 일어난 약소민족(힘이 약한 민족) 독립투쟁으로서 이후 중국 인도 베트남 필리핀 이집트의 민족운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1일 오전 서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99주년 3·1절 기념식 후 독립문으로 향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위안부를 강제연행 증거 찾기의 문제로 되돌리는 것은 옳지 않다. 반인륜적 행위의 명백한 피해자들이 있는 이상 원인 제공자가 사죄하는 마음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한일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일본은 위안부 할머니들이 한 사람이라도 더 생존해 있을 때, 늦어도 3·1운동 100주년을 맞기 전에 위안부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3·1운동 당시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7500명이 사망하고 1만6000명이 다쳤으며 4만7000명이 체포됐다. 일본은 식민지의 비무장 주민들이 당한 희생을 가르치기는커녕 오히려 아시아 강점(강제 점령)을 정당화하는 역사를 학생들에게 주입하고 있다. 독일은 주변국에 끼친 피해를 정확히 가르치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진정성이 보이는 사죄를 함으로써 이웃국가들로부터 신뢰를 얻어 오늘날 유럽연합(EU)을 이끄는 국가가 됐다는 사실을 일본은 기억해야 할 것이다.

위안부 문제는 일제가 조선에 끼친 상처가 지금까지도 아물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현재진행형인 사건이다. 서울대 인권센터는 지난달 27일 한중일 위안부 국제콘퍼런스에서 1944년 9월 13일 밤 중국 윈난성 텅충에서 조선인 위안부로 추정되는 여성들이 일본군에 학살(가혹하게 죽임)돼 구덩이에 버려진 충격적인 영상을 공개했다. 전날 강경화 외교장관은 스위스 제네바 유엔인권이사회에서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피해자 중심 접근이 결여(모자람)돼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자 호리이 마나부 일본 외무성 정무관은 “일본군과 관헌(관청)에 의한 위안부의 강제연행(강제로 데리고 감)은 확인되지 않았다”는 기존의 주장을 반복했다.​

3·1운동 희생자들의 피에 힘입어 한반도 역사에 최초로 민주공화국의 정신에 입각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국 상하이에 세워졌다. 정부와 여권은 내년 3·1운동과 임시정부 100주년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3·1절을 성대히 기념하고 임시정부의 법통(법의 계통)을 강조하는 것 자체가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임시정부에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다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루고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자랑스러운 역사의 기점(시작되는 곳)이 3·1운동이었음을 기억하자.

동아일보 3월 1일 자 사설 정리​





▶어린이동아 김보민 기자 gomin@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