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뉴스
  • [눈높이 사설] 제2 도시 부산이 소멸 위험?
  • 김재성 기자, 이수 기자
  • 2024-07-02 13:42:00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공유하기
  • URL복사

동아일보 사설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쓴 ‘눈높이 사설’이 월, 수, 금 실립니다. 사설 속 배경지식을 익히고 핵심 내용을 문단별로 정리하다보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키워집니다.


지난달 28일 부산 해운대 일대의 모습. 부산=뉴시스



[1] 한때 400만 명이 넘었던 부산의 인구는 현재 329만 명. 서울에 이어 ‘2대 도시’를 유지하곤 있지만 얼마 전 인천도 300만 명을 돌파했어요. 최근엔 반갑지 않은 소식이 하나 더 늘었어요. 부산이 전국 7개 특별·광역시 중 처음으로 ‘소멸위험’ 단계로 들어섰다는 것.



[2] 소멸위험 지역이란 개념은 일본의 사회학자가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 통계청도 2016년부터 쓰기 시작했어요. 부정적인 느낌 탓에 소멸(사라져 없어짐)이란 단어가 적절하냐는 논란도 있지만 인구 감소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표현으로 사용되곤 해요. 지역의 소멸위험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는 출산 적령기(20∼39세) 여성이 얼마나 살고 있느냐는 것. 이 인구수를 노인(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이 바로 소멸위험지수예요. 2030 여성 인구가 노인 인구의 절반이 안 되면, 즉 0.5 이하이면 소멸위험에 들어섰다고 해요.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의 소멸위험지수는 0.49로, 서울(0.81) 경기(0.781) 인천(0.735)에 비해 크게 낮아요.



[3] 부산 같은 대도시라도 일자리나 아이 키울 환경 등 청년들이 뿌리내릴 조건이 나빠지면 도시가 잘 유지되기 어렵다는 것이 이번 보고서가 던지는 경고. 보고서에 의하면 부산 해운대구마저 예외가 아니라고 해요. 해운대에는 대형 쇼핑몰과 문화시설, 초고층 빌딩이 많아 젊은층이 선호할 것 같지만 임차료(남의 물건을 빌려 쓰는 대가로 내는 돈)와 주거비가 비싸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젊은이들이 많지 않다는 것. 일자리 부족도 문제지만 지역 내 양극화(서로 점점 달라지고 멀어짐)가 심하면 청년들이 발붙이기 힘들어요.



[4] 이런 대도시는 부산만이 아니에요. 서울을 제외한 전국 광역시 45개 구·군 중 소멸위험 지역은 거의 절반에 달해요. 대구, 대전, 울산 등 여러 광역시 일부 지역에서도 조짐(좋거나 나쁜 일이 생길 기미가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요. 지방을 떠난 청년들은 대부분 수도권으로 몰려들고, 그 결과 수도권에선 한정된 일자리와 주거공간을 두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져요.



[5] 지방의 소멸을 막지 못하면 저출산 해결도 어려워져요. 지방에선 청년들이 적어서, 수도권에선 전국에서 모여든 청년들이 먹고살기 바빠서 결혼·출산이 쉽지 않아요.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초저출산 및 초고령사회’ 보고서는 출산율을 올리는 데 가장 효과적인 정책이 수도권 집중 완화라고 해요. 우리의 도시 인구 집중도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수준(우리의 22%)으로 낮추는 게 저출산 관련 정부 지출(어떤 목적을 위하여 돈을 지급하는 일)이나 육아휴직 사용률을 OECD 평균으로 끌어올리는 것보다 각각 8배, 4배 높은 효과를 내는 것으로 분석돼요. 부산 같은 대도시가 활력을 찾지 못하면 다른 저출산 대책에 아무리 많이 투자해 봐야 소용이 없을 수 있다는 말이죠.



※오늘은 동아일보 오피니언 면에 실린 칼럼을 사설 대신 싣습니다.



동아일보 7월 1일 자 신광영 논설위원 칼럼 정리



▶어린이동아 김재성 기자 kimjs6@donga.com, 이수 기자 2su2su@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수력원자력 권지단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상업적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욕설이나 비방하는 댓글을 올릴 경우 임의 삭제 조치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